반응형
의심 문자 'Link verification code', 피싱일까? 계정 도용 시도 확인 방법
최근 'Link verification code'라는 문자를 받은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이 문자는 정상 서비스가 보낸 것일까요, 아니면 계정 도용을 노린 피싱일까요? 오늘은 이런 문자의 정체와 안전하게 대처하는 방법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목차
1. 계정 도용 시도 가능성
누군가 사용자의 이메일, SNS, 메신저, 금융 앱 계정에 로그인을 시도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이 과정에서 서비스가 2단계 인증을 요구하면, 사용자의 번호로 인증 코드 문자가 발송됩니다. 본인이 직접 요청하지 않았다면, 누군가 계정 탈취를 시도하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2. 피싱 문자일 가능성
'Link verification code'라는 표현은 정상 서비스에서 잘 쓰지 않는 표현입니다. 정상적인 인증 문자라면 반드시 서비스명이 포함됩니다. 예:
- Google verification code: 123456
- 네이버 인증번호 [123456]
하지만 이번 문자에는 서비스명이 없고, 발신 번호가 해외 국제번호(예: +350 지브롤터)입니다. 이런 경우는 스팸/피싱 문자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3. 확인 및 조치 방법
- 최근 로그인 시도 확인: 구글, 네이버, 카카오, 페이스북 등 주요 계정 보안 기록 확인
- 비밀번호 즉시 변경: 이메일, SNS, 금융 계정은 중복되지 않는 강력한 비밀번호 사용
- 2단계 인증 설정: OTP 앱 기반 보안 강화
- 통신사 차단: 해당 번호를 스팸 등록하고, 고객센터에 차단 요청
- 코드 입력 금지: 어떤 사이트나 앱에서도 해당 코드를 절대 입력하지 말 것
4. 서비스별 로그인 시도 확인 방법
의심된다면 각 서비스의 보안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구글: Google 보안 활동 → 최근 로그인 기록 확인, 모든 기기 로그아웃
- 네이버: 보안 설정 → 로그인 기록에서 IP/기기 확인
- 카카오: 보안 → 로그인 관리에서 최근 기기 기록 확인
- 페이스북/인스타그램: 보안 및 로그인 → 로그인된 위치 확인
-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활동에서 최근 로그인 내역 확인
- 애플: Apple ID 관리 → 로그인된 기기 확인
5. 요약 정리
핵심 요약
· 'Link verification code'는 정상 서비스가 아닌 피싱 문자 가능성이 큼
· 서비스명이 없고 해외번호 발신이라면 주의 필요
· 최근 계정 로그인 기록 확인 후, 비밀번호 변경 및 2단계 인증 설정
· 어떤 경우에도 코드를 입력하지 말 것
· 'Link verification code'는 정상 서비스가 아닌 피싱 문자 가능성이 큼
· 서비스명이 없고 해외번호 발신이라면 주의 필요
· 최근 계정 로그인 기록 확인 후, 비밀번호 변경 및 2단계 인증 설정
· 어떤 경우에도 코드를 입력하지 말 것
자주 묻는 질문
Q1. 이 문자가 정상일 수도 있나요?
A. 서비스명이 없고 해외 발신이라면 정상일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Q2. 코드를 이미 입력했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즉시 해당 계정 비밀번호를 변경하고, 고객센터에 문의해 계정 도용 여부를 확인하세요.
Q3. 앞으로 이런 문자 받지 않으려면?
A. 통신사 스팸 차단 서비스에 등록하거나, 스팸 필터링 앱을 활용하세요.
반응형
'생활정보|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추석 연휴 기차표 예매 (1) | 2025.08.27 |
---|---|
비대면 주민등록 사실조사 내역 확인 방법 (3) | 2025.08.26 |
2025 추석 기차표 예매방법 (3) | 2025.08.26 |
건강보험료 미납통지서 오는 이유 (0) | 2025.08.24 |
고용24 이중 로그인 가능여부 (0) | 2025.08.22 |